용어정리
OM 용어 자주하는 질문
OM 용어
Q1. 출고상품은 무엇을 의미하나요?
출고상품은 재고관리를 위한 최소 단위를 의미합니다. 물류 영역의 SKU(Stock Keeping Unit)을 의미합니다. 화주가 옥스포트 남성셔츠를 취급한다는 가정하에 출고상품 구조 설명을 추가합니다.
Q2. 단일상품은 무엇을 의미하나요?
한 종류의 출고상품으로 구성된 상품을 의미합니다.
Q3. 세트상품은 무엇을 의미하나요?
두 종류의 이상의 출고상품을 연계하여 별도의 추가 출고상품으로 구성한 상품 구조를 의미합니다. 대표적인 상품은 선물세트류 입니다.
Q4. 사은품은 무엇을 의미하나요?
상품을 구매한 고객에게 비용을 받지 않고 추가로 보내주는 목적의 출고상품을 의미합니다.
Q5. 판매상품은 무엇을 의미하나요?
각 쇼핑몰에 판매할 상품을 의미합니다. 판매상품 등록 후 출고상품을 매핑시켜 사용 합니다.
Q6. 원부자재는 무엇을 의미하나요?
출고상품 포장에 활용되는 자재(박스, 폴리백, 아이스박스), 충진재(상품이 파손되지 않도록 충격을 흡수해주는 재료) 및 부가작업(세트, 라벨링: 출고상품에 별도의 라벨을 부착하는 행위 등)에 활용되는 자재를 의미합니다.
Q7. 대표 상품명은 무엇을 의미하나요?
동일한 디자인/컨셉을 공유한 출고상품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간주하며, 해당 그룹을 설명하는 이름을 의미합니다.
Q8. 스타일 코드는 무엇을 의미하나요?
대표 상품에 부여된 번호로, 플랫폼 내에서 동이일한 스타일 코드를 중복 등록하여 활용하는 것은 허용하지 않습니다.
Q9. 출고상품에서 카테고리는 무엇인가요?
kakao i LaaS에서 관리하는 정보로 화주가 출고상품 등록 시 설정한 상품에 대한 분류값을 의미합니다.
Q10. 박스 입수량은 무엇인가요?
박스 한 개에 들어가는 낱개 상품의 개수를 의미합니다.
Q11. 팔렛트 입수량은 무엇인가요?
한 팔레트에 적재되는 박스의 개수를 의미합니다.
Q12. CrossDock은 무엇을 의미하나요?
물류센터로 입고되는 출고상품을 수령하는 즉시 분류하여 고객에게 출고시키는 형태를 의미합니다. 크로스닥 출고상품은 물류센터에서 보관이 거의 이뤄지지 않습니다.
Q13. 합포장불가상품이 무엇인가요?
합포장이란 두 종류 이상의 출고상품을 한 박스로 포장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합포장 불가는 출고상품의 특성 (부피, 파손 가능성, 파손 시 주변 상품 오염 등)을 고려하여 개별 포장하여 고객에게 발송할 것을 요청하는 항목입니다.
Q14. 소비기한 관리는 무엇을 의미하나요?
출고상품이 소비기한 관리 대상일 경우 이를 관리할 수 있습니다. 기준으로 활용하는 값을 '제조일자' 혹은 '소비기한'으로 정의할 수 있습니다.
Q15. 제조일자란 무엇인가요?
출고상품이 생산업체(공장)에서 만들어진 일자를 의미합니다.
Q16. 유통 가능일은 무엇인가요?
배송일 및 구매자의 예상 소비 기간을 고려하여 소비기한 며칠 전까지 출고될 수 있는지 정의하는 기준값을 의미합니다.
유통가능일을 0일로 설정하였다면, 소비기한 일자까지 출고가 가능합니다.
유통가능일을 10일로 설정하였다면 소비기한 도달 10일전까지는 물류센터에서 출고가 가능합니다.
유통가능일이 초과한 출고상품은 고객에게 출하가 되지 않음에 따라, 화주는 대상 상품에 대하여 폐기 등 처리 방침을 정의해야합니다.
Q17. 입고 가능일은 무엇인가요?
출고상품의 잔여 소비기한이 판매를 위해 필요한 기간보다 짧을 경우 상품의 입고를 제한하기 위한 기준값을 의미합니다.
입고 가능일을 30일로 설정했다면, 입고되는 출고상품의 소비기한은 최소 30일 이상 남아있어야 합니다. 만일 소비기한이 30일 미만으로 남아있을 경우, 물류센터에서는 입고 이상상황으로 간주하고 이슈를 화주에게 공유합니다.
Q18. 옵션명은 무엇인가요?
색상, 사이즈, 모델명, 향, 용량, 길이 등 특성의 이름을 의미합니다.
Q19. 옵션값은 무엇인가요?
특성의 세부 정보를 의미합니다. 속성명을 색상이라고 정의하였을 때, 속성값은 화이트/블랙/블루 등으로 설명됩니다.
Q20. 공급처는 무엇을 의미하나요?
화주가 출고상품을 공급받는 업체를 의미합니다. 입고예정정보 등록을 진행할 때, 공급처 정보는 필수항목입니다. 이를 위해 화주는 '설정 > 공급사/출고처/물류센터관리' 화면에서 공급처를 등록할 수 있습니다.
Q21. 발주 권고는 무엇을 의미하나요?
물류센터에서 보관중인 수량이 화주가 설정한 품절대기 수량 이하일 경우 '발주 권고' 상태로 표시됩니다. 안정적인 판매를 위해 공급처에 추가 주문을 검토해주세요.
Q22. 부진 재고는 무엇을 의미하나요?
출고상품이 최초 입고일로부터 1달이 지난 상품 중 최근 7일간 판매되지 않아 출고가 진행되지 않은 상품을 의미합니다.
Q23. 로트(Lot.)는 무엇을 의미하나요?
로트(Lot.)는 출고상품을 세부적으로 구분하는 기준입니다. Kakao i LaaS - WM에서는 '입고일-출고상품-(제조일자 or 소비기한)' 에 따라 번호를 생성합니다. 선입선출 및 품질이슈 발생 시 해당되는 세부 그룹에 한정하여 출고관리를 진행할 때 활용할 수 있습니다.
Q24. 안전재고는 무엇을 의미하나요?
고객의 claim(교환/반품) 대응을 위한 각 출고상품의 보관 수량입니다. '설정' > '출고/재고/선출고 설정'에서 화주가 해당 수량을 정의할 수 있습니다. 수량을 설정하는 건 화주의 선택 사항이며, 수량이 입력되지 않은 경우는 '0'으로 설정됩니다. 안전재고로 설정된 수량은 상품이 판매되었을 때 출고되지 않습니다.
Q25. 정상재고와 불량재고는 무엇을 의미하나요?
출고상품이 고객에게 출고 가능한 상태를 '정상', 고객에게 출고할 수 없는 상태를 '불량'으로 정의합니다. 물류센터에서는 '정상'인 출고상품만 출고할 수 있으며, 화주 또한 '정상' 상태인 출고상품에 한하여서만 출고요청 할 수 있습니다.
Q26. 재고에서 로케이션은 무엇을 의미하나요?
물류센터에서 출고상품이 보관되고 있는 최소 공간을 구분하는 단위를 의미합니다. 하나의 출고상품은 1곳 이상의 로케이션에 분산될 수 있습니다.
Kakao i LaaS에서는 로케이션 유형을 '앵글'과 '팔레트'로 구분합니다.
앵글 : 선반형태의 보관장소를 의미합니다.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크기는 '대형, 중형, 소형'으로 구분됩니다. 크기는 '화주-회원사' 간의 물류 서비스 계약을 체결할 때 정의한 사양 정보를 따르고 있습니다.
팔레트 : 풀 팔레트는 팔렛트에 1.5m 이상 출고상품이 적재되어 보관되고 있는 경우를 의미합니다. 하프 팔레트는 0.7m 이하의 높이로 출고상품이 적재되어 보관되고 있는 경우를 의미합니다.
출고상품의 보관량, 입고박스 규격 등을 고려하여 물류센터에서는 출고상품의 보관 로케이션을 정의하여 활용하게 됩니다.
Q27. 주문 마감 시간이 무엇인가요?
화주가 고객과 약속한 당일 출고가 가능한 마지막 주문 접수 시간을 의미합니다. 평일 낮 4시 이전 주문 시 당일 출고를 진행한다면, 주문마감시간은 오후 4시입니다. 주문마감시간을 기준으로 화주와 회원사가 협의한 시간에 화주의 주문이 회원사에게 이관됩니다.
Q28. 품절대기 기준은 무엇을 의미하나요?
품절대기 기준을 5개라고 지정했을 경우, 출고상품 수량이 5개에 도달하면 품절대기로 전환됩니다. 출고상품의 원활한 판매를 위한 발주를 권고하기 위한 사항입니다.
Q29. 가용재고란 무엇을 의미하나요?
화주가 고객에게 판매할 수 있는 정상 상태의 출고상품 수량을 의미합니다. 화주가 안전재고를 설정했을 경우엔 안전재고 수량을 차감하여 관리합니다.
Q30. 가용재고란 무엇을 의미하나요?
화주가 고객에게 판매할 수 있는 정상 상태의 출고상품 수량을 의미합니다. 화주가 안전재고를 설정했을 경우엔 안전재고 수량을 차감하여 관리합니다
Q31. 선출고는 무엇을 의미하나요?
교환 입고 상품이 물류센터로 도착하지 않았으나 교환대상 상품을 고객에게 먼저 보내주는 행위를 의미합니다.
Last up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