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kao i LaaS 가이드 문서
LaaS 바로가기도입문의
  • Kakao i LaaS 가이드
  • 사용 준비하기
    • 가입하기
    • 멤버 초대하기
    • 접속 및 로그인
    • OM/WM 사용 설정
  • 매칭 사용하기
    • 화주 가이드
      • 창고찾기/창고파인더
      • 스마트 견적 요청
      • 스마트 견적 관리
      • 창고 매칭
      • 창고 관리
    • 회원사 가이드
      • 사업자정보 등록
      • 창고 등록
      • 창고 등록 심사
      • 스마트 견적 관리
      • 창고 매칭
      • 창고 관리
  • OM 가이드
    • 화주 가이드
      • OM 화주 세팅
      • 대시보드 활용하기
      • 상품 등록하기
      • 쇼핑몰 연동하기
      • B2C 주문 관리
      • B2B 주문 관리
      • 입고 관리하기
      • 재고 관리하기
      • 비용 정산하기
      • 인사이트 확인하기
    • 회원사 가이드
      • OM 회원사 세팅
      • 대시보드 활용하기
      • B2C 주문 확인
      • B2B 주문 확인
      • 비용 정산하기
  • WM 가이드
    • 회원사 가이드
      • WM 세팅
      • 입고 처리하기
      • 출고 처리하기
      • 재고 관리하기
      • PDA 활용하기
  • FAQ
    • 자주 하는 질문
      • 일반 문의
      • 매칭 문의
      • OM 문의
        • 용어정리
        • 출고상품관리
        • 판매상품관리
        • 쇼핑몰
        • 주문관리
        • 입고관리
        • 재고조회
        • 비용정산
        • 설정
        • 인사이트
      • WM 문의
        • WM설정
        • WM입고관리
        • WM재고관리
        • WM출고관리
      • WM PDA 문의
    • 라스 꿀팁
    • 용어사전
Powered by GitBook
On this page
  1. FAQ

용어사전

Previous라스 꿀팁

Last updated 9 months ago

ㄱ

가용 재고 : 화주가 고객에게 판매할 수 있는 정상 상태의 출고상품 수량입니다. 화주가 안전 재고를 설정 했을 경우엔 안전재고 수량을 차감하여 관리합니다.

공급처 : 화주가 출고상품을 공급받는 업체입니다. 입고예정정보 등록을 진행할 때, 공급처 정보는 필수항목이며 화주는 '설정 > 공급사/출고처/물류센터관리' 화면에서 공급처를 등록합니다.

ㄷ

단일상품 : 한 종류의 출고상품으로 구성된 상품입니다.

대표 상품명 : 동일한 디자인/컨셉을 공유한 출고상품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간주하며, 해당 그룹을 설명하는 이름을 의미합니다.

ㄹ

로케이션 : 물류센터에서 출고상품이 보관되고 있는 최소 공간을 구분하는 단위입니다. 하나의 출고상품은 1곳 이상의 로케이션에 분산 가능합니다. Kakao i LaaS에서는 로케이션 유형을 '앵글'과 '팔레트'로 구분합니다.

  • 앵글 : 선반형태의 보관장소로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크기는 '대형, 중형, 소형'으로 구분. 크기는 '화주-회원사' 간의 물류 서비스 계약을 체결할 때 정의한 사양 정보 따릅니다.

  • 팔레트 : 풀 팔레트는 팔렛트에 1.5m 이상 출고상품이 적재되어 보관되고 있는 경우이며 하프 팔레트는 0.7m 이하의 높이로 출고상품이 적재되어 보관되고 있는 경우입니다.

출고상품의 보관량, 입고박스 규격 등을 고려하여 물류센터에서는 출고상품의 보관 로케이션을 정의하여 활용합니다.

ㅂ

박스 입수량 : 박스 한 개에 들어가는 낱개 상품의 개수입니다.

발주 권고 : 물류센터에서 보관중인 수량이 화주가 설정한 품절대기 수량 이하일 경우 '발주 권고' 상태로 표시합니다. 안정적인 판매를 위해 공급처에 추가 주문을 검토합니다.

부진 재고 : 출고상품이 최초 입고일로부터 1달이 지난 상품 중 최근 7일간 판매되지 않아 출고가 진행되지 않은 상품입니다.

불량 재고 : 고객에게 출고할 수 없는 상태를 '불량’이라 합니다.

ㅅ

사은품 : 상품을 구매한 고객에게 비용을 받지 않고 추가로 보내주는 목적의 출고상품입니다.

선출고 : 교환 입고 상품이 물류센터로 도착하지 않았으나 교환대상 상품을 고객에게 먼저 보내주는 행위입니다.

스타일 코드 : 대표 상품에 부여된 번호로, 플랫폼 내에서 동이일한 스타일 코드를 중복 등록하여 활용하는 것은 불가합니다.

세트상품 : 두 종류의 이상의 출고상품을 연계하여 별도의 추가 출고상품으로 구성한 상품 구조입니다. (대표적 상품 : 선물세트류)

ㅇ

안전재고 : 고객의 claim(교환/반품) 대응을 위한 각 출고상품의 보관 수량으로 설정 > 출고/재고/선출고 설정'에서 화주가 해당 수량을 정의 가능합니다. 수량을 설정하는 건 화주의 선택 사항이며, 수량이 입력되지 않은 경우는 '0'으로 설정하고 안전재고로 설정된 수량은 상품이 판매되었을 때 출고되지 않습니다.

옵션명 : 색상, 사이즈, 모델명, 향, 용량, 길이 등 특성의 이름입니다.

옵션값 : 특성의 세부 정보를 의미합니다. 속성명을 색상이라고 정의하였을 때, 속성값은 화이트/블랙/블루 등으로 설명합니다.

유통 가능일 : 배송일 및 구매자의 예상 소비 기간을 고려하여 유통기한 며칠 전까지 출고될 수 있는지 정의하는 기준값입니다.

  • 유통가능일을 0일로 설정하였다면, 유통기한일자까지 출고가 가능합니다.

  • 유통가능일을 10일로 설정하였다면 유통기한 도달 10일전까지는 물류센터에서 출고가 가능합니다. 유통가능일이 초과한 출고상품은 고객에게 출하가 되지 않음에 따라, 화주는 대상 상품에 대하여 폐기 등 처리 방침을 정의합니다.

유통기한 관리 : 출고상품이 유통기한 관리 대상일 경우 이를 관리 가능합니다. 기준으로 활용하는 값을 '제조일자' 혹은 '유통기한'으로 정의합니다.

입고 가능일 : 출고상품의 잔여 유통기한이 판매를 위해 필요한 기간보다 짧을 경우 상품의 입고를 제한하기 위한 기준값입니다. 입고 가능일을 30일로 설정했다면, 입고되는 출고상품의 유통기한은 최소 30일 이상 남아 있어야합니다. 만일 유통기한이 30일 미만으로 남아있을 경우, 물류센터에서는 입고 이상상황으로 간주하고 이슈를 화주에게 공유합니다.

원부자재 : 출고상품 포장에 활용되는 자재(박스, 폴리백, 아이스박스), 충진재(상품이 파손되지 않도록 충격을 흡수해주는 재료) 및 부가작업(세트, 라벨링: 출고상품에 별도의 라벨을 부착하는 행위 등)에 활용되는 자재입니다.

ㅈ

점유 : 각 로케이션에 재고가 보관되어 있는 경우입니다.

정상재고 : 출고상품이 고객에게 출고 가능한 상태를 '정상’. 물류센터에서는 '정상'인 출고상품만 출고할 수 있으며, 화주 또한 '정상' 상태인 출고상품에 한하여서만 출고요청 가능합니다.

주문 마감 시간 : 화주가 고객과 약속한 당일 출고가 가능한 마지막 주문 접수 시간으로 평일 낮 4시 이전 주문 시 당일 출고를 진행한다면, 주문 마감 시간은 오후 4시입니다. 주문 마감 시간을 기준으로 화주와 회원사가 협의한 시간에 화주의 주문이 회원사에게 이관합니다.

제조일자 : 출고상품이 생산업체(공장)에서 만들어진 일자입니다.

ㅊ

출고상품 : 재고관리를 위한 최소 단위입니다. 물류 용어로 SKU(Stock Keeping Unit)

출고상품 카테고리 : Kakao i LaaS에서 관리하는 정보로 화주가 출고상품 등록 시 설정한 상품에 대한 분류값입니다.

ㅍ

팔렛트 입수량 : 한 팔레트에 적재되는 박스의 개수입니다.

폴리백 : 플라스틱 필름으로 만든 비닐 주머니입니다.

품절 대기 기준 : 품절대기 기준을 5개라고 지정했을 경우, 출고상품 수량이 5개에 도달하면 품절대기로 전환합니다. 출고상품의 원활한 판매를 위한 발주를 권고하기 위한 사항입니다.

ㅎ

합포장 : 합포장이란 두 종류 이상의 출고상품을 한 박스로 포장하는 것입니다.

합포장불가상품 : 합포장 불가는 출고상품의 특성(부피, 파손 가능성, 파손 시 주변 상품 오염 등)을 고려하여 개별 포장하여 고객에게 발송할 것을 요청하는 항목입니다.

English

CrossDock : 물류센터로 입고되는 출고상품을 수령하는 즉시 분류하여 고객에게 출고시키는 형태로 크로스닥 출고상품은 물류센터에서 보관이 거의 이뤄지지 않습니다.

SKU : Stock Keeping Uint 재고 관리 단위입니다.

ㄱ

가용 수량 : 재고 수량에서 예약수량과 보류 수량을 차감한 수량입니다

교환 출고 : 쇼핑몰에서 발생한 교환 클레임에 따른 출고 유형으로써, 현장에서의 작업은 '일반 출고'와 동일하지만 주문 관리 차원에서 유형을 구분하여 관리합니다.

과입고 : 입고 예정 물량보다 많은 실물이 도착한 경우를 뜻합니다. 사전 계획된 물량보다 많은 물량으로 물류 보관료가 추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Kakao i LaaS에서는 화주사에 정보를 전달하여 작업 진행 승인을 받는 절차가 필요합니다.

ㄴ

누락 재고 : 전산재고보다 실물재고가 많을 때 발생한 재고, 즉, 전산 상 누락된 재고를 의미합니다.

ㄷ

단포패킹 : 1개의 운송장에 패킹해야 할 상품 총 수량이 1개인 경우를 의미합니다.

ㄹ

랙 : 재고 보관을 위해 철골 또는 선반으로 만든 구조물을 의미합니다.

로케이션 : 일반적으로는 재고를 보관하는 공간적인 단위를 의미하며, Kakao i LaaS WM에서는 재고 보관 상위 개념을 의미합니다.

로트/로트번호 : 로트는 재고 관리 기준 단위를 의미하며, 로트별 관리 번호를 '로트번호’라 합니다. 하나의 로트에는 재고를 관리하기 위한 속성(상품명/상품코드/온도유형/유통기한 등)이 지정되어 있습니다. 물류센터에 재고가 생성되는 시점에 로트번호가 부여되며, 동일한 속성을 가지는 로트번호가 존재하면 해당 번호로, 그렇지 않으면 신규 로트번호로 채번되어 재고 관리가 이루어집니다.

로트별 재고이동 : 로트 중 일부 상품의 전산재고 이동을 원할 경우 사용하는 기능입니다.

ㅁ

미출고 : 출고오더 접수(출고지시)는 되었으나, 출고 확정과 주문 취소 모두 발생하지 않은 상태입니다. 다시 말해, 출고 작업은 진행 중이나, 운송장 출력은 진행되지 않은 단계입니다.

ㅂ

보류 수량 : 작업이 예정되어 있거나, 상품에 하자가 있는 경우, 할당을 제한하기 위해 ’보류’ 상태로 전환한 재고의 수량입니다.

보충작업 : 출고를 위한 피킹이 해당 로케이션에서 계속 수행될 수 있도록 재고를 보충하는 작업입니다.

부분 입고 : 입고 작업 진행을 통해 입고확정이 발생하였으나, 입고예정수량보다 실 입고량이 작은 상태입니다. "신규" 상태에서 1개 상품이라도 입고 실적이 발생하면 총량이 입고되기 전까지 "부분입고" 상태가 됩니다.

ㅅ

상차 : 차량에서 제품을 싣는 행위를 의미합니다.

상품별 적치셀 : 화주/상품별로 입고 이후, 지정된 특정 셀에 보관하고자 하는 경우, 해당 기능을 활용하여 관리 가능합니다.

상품별 피킹셀 : 화주/상품별로 출고 시, 할당전략에 배정된 전략이 아닌, 사용자가 지정한 고정셀에서 피킹하고자 할 때 우선 전략을 설정합니다. 해당 화면에서 화주/상품별 해당 상품의 피킹 전략을 수동 지정하면, 할당 전략 실행 시, 해당 전략이 1순위로 실행됩니다.

셀 : 하위 보관 단위입니다

셀 이동 : 특정 셀 내 전체 상품/로트를 전산 상 이동시키고 싶을 경우 사용합니다.

셀 보류 "정상" : 출고 위한 재고 할당 진행 가능한 상태입니다.

셀 보류 "할당불가" : 보류된 재고로써, 출고 위한 재고 할당 진행이 불가함을 의미합니다.

ㅇ

예약 수량 : 할당, 피킹, 적치, 이동, 보충 작업 중 하나의 작업이 걸려있는 경우 ‘예약’ 상태로 설정됩니다.

웨이브 : '웨이브'는 출고 작업 차수, 즉 여러 출고오더를 그룹핑하여 출고 작업을 수행하는, 출고 작업 단위입니다. 웨이브는 WM 시스템 상에서 자동으로 생성되며, 웨이브 No.의 마지막 자리로 작업 할당 순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웨이브 할당 : 출고 주문에 재고(상품)를 연결해주는 과정입니다. 할당이 진행된 주문에 대해서만 피킹 작업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ㅈ

재고조사 : 물류센터에 보관중인 재고의 수량과 상태를 시스템 정보값과 비교하며 조사하는 행위를 의미합니다.

적치 : 제품을 정해진 로케이션에 보관하는 행위를 의미합니다.

조정 출고 : 전산 재고보다 실물재고가 적은 경우, 전산 재고값을 실물 재고값 기준으로 맞추기 위해 (전산 재고 감소 목적) 실물 이동 없이 전산 상 출고 처리하는 작업 유형입니다.

존 : 상위 보관 단위입니다.

ㅊ

출고 : 재고를 창고에서 반출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출고 완료 대기 : WM에서의 출고작업은 OM 주문번호 단위로 확정되도록 세팅되어 있습니다. 간혹, 하나의 OM 주문번호에 여러 개의 WM의 출고번호가 매칭되어 있는 경우, 일부 WM 출고번호에 대해서만 출고 확정이 발생됩니다. 이 경우, 해당 주문 (OM 주문번호)의 상태는 '출고완료대기' 상태가 됩니다.

ㅍ

피킹 : 주문 수량에 따라 상품이 위치한 곳에서 정확한 수량만큼의 상품을 꺼내오는 행위를 의미합니다.

패킹 : 제품을 수배송하기 위해서 포장 단위에 맞춰 쌓거나 포장하는 행위를 의미합니다.

ㅎ

하차 : 차량에서 제품을 내리는 행위를 의미합니다.

할당 : 특정 출고 건에 특정 재고(로트)를 배치하는 과정입니다.

합포패킹 : 1개의 운송장에 패킹해야 할 상품 총 수량이 2개 이상인 경우 (단일 또는 다수의 SKU)를 의미합니다.

English

WMS : Warehouse Management System, 창고 관리 시스템, 창고를 관리하기 위한 솔루션으로 입고/출고/재고 관리 등의 일련의 프로세스를 전산화하여 관리하는 시스템을 의미합니다.